1. 관련근거
□ 교육분야 안전 종합대책(교육부, 2014.11)
□ 교원자격검정령 제19조제3항 관련 별표1 및 부칙 제 2조(대통령령 제26710호, 2015.12.15.)
□ 교원자격검정령 개정에 따른 교원양성기관 반영사항 안내(교육부 교원복지연수과-8097, 2015.12.30.)
2.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충족기준
구분 | 충족기준 |
---|---|
합격 횟수 | 재학 중 2회 이상 합격 |
3. 교육대상
□ 사범계열 및 교직과정학과 교직과정이수자
※ 2016학년도 입학생부터 실습횟수의 인정은 학년도별 1회를 기본원칙으로 한다.
4. 교육 인정기준
□ 사범계열 및 교직과정학과 교직과정이수자
※ 2016학년도 입학생부터 실습횟수의 인정은 학년도별 1회를 기본원칙으로 한다.
5. 교육내용
□ 실습과정 내용
- 질병관리본부의 표준 심폐소생술 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일반인들이 심폐 소생술 및 심장충격기(AED) 사용법과 응급처치를 배울수 있는 교육과정
□ 교육 이수기관 : 광주여대 간호학과 BLS센터(무등관 5층)
□ 교육 강사 : 광주여대 간호학과 교수
가. 일반과정(1회)
순서 | 구분 | 과정 | 비고 |
---|---|---|---|
1 | 이론 | 교육과정 및 강사소개 | |
2 | 교육시작 및 심정지 사례 소개 | ||
3 | 심폐소생술의 중요성 소개 | ||
4 | 심정지 확인과 도움요청 | ||
5 | 혼자 있을 때의 심정지 확인과 도움요청 | ||
6 | 가슴압박과 인공호흡 | ||
7 | 심장충격기[AED] 적용방법 | ||
8 | 과정요약 | ||
9 | 실습 | 심폐소생술실습 준비 | |
10 | 가슴압박소생술 전체과정 실습 | ||
11 | 심장충격기[AED] 적용방법 실습 | ||
12 | 인공호흡 시행방법 | ||
13 | 심폐소생술 국민행동 지침 정리 | ||
14 | 가슴압박소생술과 심장충격기[AED] 전체실습 | ||
15 | 과정요약 및 종료 |
나. 심화과정(2회)
순서 | 구분 | 과정 | 비고 |
---|---|---|---|
1 | 이론 | 교육과정 및 강사소개 | |
2 |
심폐소생술의 중요성 소개 선의의 응급의료에 대한 면책 |
||
3 | 안전·반응확인, 도움 요청, 호흡확인 | ||
4 | 전화도움 심폐소생술 | ||
5 |
가슴압박과 인공호흡 소아 심폐소생술 |
||
6 | 과정요약 | ||
7 | 실습 | 가슴압박과 인공호흡 실습 | |
8 | 심폐소생술 전체과정 실습 | ||
9 | 심장충격기[AED] 실습 | ||
10 |
심폐소생술과 심장충격기[AED] 전체과정 실습 과정요약 및 종료 |
6. 총 교육시간
□ 3시간(이론 1시간 30분 + 실습 1시간 30분)
7. 평가방법 및 과정통과 기준
□ 성인 심폐소생술과 심장충격기(AED)사용법에 대한 이수과정
□ 평가기준
- 적격 기준 : 출석 및 실습시행 통과 / Pass
- 부적격 기준 : 미응시, 지각(10분 초과 후), 중도이탈의 경우 / Fail
※ Fail의 경우 별도의 일정 수립 후 재교육 실시
8. 교육진행 절차
□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교육신청서 제출 -> 교육실시 -> 이수수료 -> 이수증 발급